본문 바로가기
알면 우주

달의 어두운 부분 "마레(Maria)" 언젠가는 탐험이 되겠죠?

by osban 2023. 8.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14년만에 돌아오는 슈퍼블루문이 내일인데요. 날씨가 도와주질 않고 있어요 .내일 저녁에 잠시라도 하늘의 구름이 없어진다면 정말 좋을것 같은데,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달의 어두운 부분에 대해서 알아볼까 하는데요. 달의 어두운 부분은 주로 "마레(Maria)"라고 불리는 부분으로, 이 부분이 탐사하기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합니다.

달 달위뒷면 마레
달 달위뒷면 마레



달은 지구 주변을 돌면서 태양으로부터 비추어지는 빛을 받습니다. 그런데 달의 어두운 부분은 지구에서 바라볼 때 햇빛이 거의 도달하지 않는 지역으로, 조명이 부족합니다. 이로 인해 달의 어두운 부분을 직접 관찰하거나 탐사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달의 어두운 부분에 태양이 비추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탐사 장비나 우주 탐사선이 충분한 태양 에너지를 활용하기가 어렵습니다.

달은 어두운 부분에서는 밤 동안 극도로 추운 온도가 형성됩니다. 달의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탐사 장비가 이런 극한 온도 변화에 대처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장비의 설계와 열 관리가 매우 복잡해지며, 내구성과 작동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려운걸로 나와 있어요.

달의 어두운 부분에 있는 우주 탐사선이 지구와 통신하기 어려울 수 있고,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에 따라 신호의 지연이 발생하며, 어두운 부분에 놓인 탐사선은 직접적인 지구와의 통신이 끊기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탐사 장비의 원격 조작이 어렵고, 데이터 송수신이 지연될 수 있는거겟죠?

달 달위뒷면 마레
달 달위뒷면 마레


마레 지역은 화산성 활동으로 형성된 지역이며, 그 특징적인 지형 때문에 탐사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화산 잔해나 깊은 구덩이들이 있어 이동이 제한되거나 위험할 수 있기때문에 더욱 접근하기 힘들것같구요.

달의 어두운 부분은 지구로부터의 방사능이 적게 측정되는 지역이지만, 탐사 장비에 미치는 방사선 영향 역시 고려해야 하기도하고. 우주 환경에서는 태양 풍, 우주선과 미세운영체의 충돌 등의 위험성이 있어 장비와 우주 탐사선의 설계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해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달의 어두운 부분을 탐사하거나 연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과 천문학적 지식의 증가로 인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더 많은 정보를 확보하며 우주 탐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달 달위뒷면 마레
달 달위뒷면 마레


달의 어두운 부분, 즉 달의 뒷면은 탐사가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달의 어두운 부분은 항상 지구로 향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지구에서 직접 관측하거나 통신하기가 어려워지며, 기술적, 천문학적, 그리고 우주 탐사에 관련된 여러 제약 사항들이 탐사의 어려움이 많을건데요. 그래도 언젠가는 달의 어두움 부분의 탐사가 이뤄져서 궁금증이 해소 되겠죠?

우주 과학의 발전 기다려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